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생물은 모두 몇 종일까?

카테고리 없음

by 초록숨결 2023. 1. 10. 19:51

본문

전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biodiversity), 기후변화(climate change)는 생태 분야에서 중요한 키워드이다.

 

생물다양성은 세 가지 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1)  유전자(gene) 다양성, (2) 종(species) 다양성, (3) 생태계(ecosystem) 다양성 이다.  

 

이 중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것이 바로 '종 다양성'이란 개념인데,

용어 그대로 생물종이 얼마나 다양한가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South Korea)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종이 살고 있을까?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매년  국가생물다양성 통계자료집을 발간해 우리나라 생물 현황을 업데이트하고 있다.

가장 최신의 자료집(2022년 7월)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총 5만 6,248종의 생물이 살고 있다.

 

 

생물 종 정보는 최신 분류체계에 따라 동물계, 식물계, 유색조식물계, 균계, 원생동물계, 세균계, 고세균계 등

7계로 나뉘어 제공되며, 분류군별로 종 수를 살펴보면

동물계(32,273종) > 식물계(8,156종) > 균계(5,816종) 순으로 종 수가 많다.

 

조금 더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동물계(Animalia)에서는 곤충류19,809종, 식물계(Plantae)에서는 관속식물4,606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그 중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살고 있는 고유종(endemic species)총 2,206종이다.

생물주권이 확립되면서 고유종은 우리가 반드시 보전해야 할 귀중한 생명자원이 되었다. 생물주권이란 각 나라가 영토에 대해 주권을 갖듯 그 땅에서 나고 자란 동식물에 대해서도 권리를 갖는다는 뜻이다.그러므로 지속적으로 고유생물을 발굴하고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알아야 보이고, 알아야 사랑하고, 알아야 지킬 수 있다!!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생물종의 정보 구축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생물자원 관리를 위해 선행되어야할 중요한 업무이다.

 
 
 
<참고문헌>
국립생물자원관. 2022. 2021 국가생물다양성 통계자료집.